변액보험이란? 일반연금, 변액연금과 변액유니버셜의 장단점 분석 및 가입요령
연금의 종류 및 주요특징부터 살펴보겠습니다.
♣연금저축-세액공제상품 (예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뀜)
♣일반연금-공시이율로 운용되는 상품(10년 지나면 비과세)
♣변액연금-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되어 운용수익에 따라 연금을 지급받는 상품.연금개시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원금보장
(단, 중도에 해지할경우 투자수익에 따라 손실발생가능),채권비중이 높음 (10년 지나면 비과세)
♣변액유니버셜(VUL)-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되어 운용됨.주식비중이 높음. 원금보장이 안됨. 연금전환기능이 있음.
(10년 지나면 비과세)
위와 같이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습니다. 그럼 이 상품들의 가입요령을 살펴볼까요?
▣ 가입요령
연금저축-예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면서 크게 메리트가 떨어졌습니다. 대부분 직장인들이 소득공제받을때
보다 환급받는 금액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공제받을 항목이 많이 없는 분들이 가입하는게 좋
긴 하나 차후에 연금소득세를 또 내야 하기에 현재는 크게 추천하지 않습니다.
일반연금-공시이율로 운용되므로 저금리 상황에서 크게 메리트는 없으나 죽어도 변액같은 투자상품이 싫은 분들께
추천.
변액연금-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되어 운용수익에 따라 연금을 지급받으나 연금개시시까지 유지시 원금보장은 되기
때문에 지금같은 저금리 상황에선 안정성과 수익성을 갖춘 일반연금보단 변액연금을 추천.
변액유니버셜-변액연금과 같이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되지만 주식비중이 높기 때문에 리스크는 있지만 고수익을
원하는 공격적인 성향의 분들과 젊은 분들께 추천.
▣변액보험 가입 7계명
1.반드시 10년이상 유지하여야 한다.
:10년이내 해약하면 손실가능성도 있고 10년이 지나면 비과세의 혜택이 있기 때문이다.
2.반드시 추가 납입하여야 한다.
:변액상품의 사업비가 다소 높으나 추가납입을 활용하면 공시이율보다 좋은 결과를 볼 가능성이 높다.
3.반드시 펀드변경을 하라.
:대부분 가입하고 무관심한 경우가 많은데 편드변경을 통해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다.
4.반드시 여러회사를 비교해 줄 수 있는 재무상담가를 통해 상담받아라.
:대부분 아는 분을 통해 가입하는 경우 객관적인 시각에서 상담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.
5.납입중지 기능을 활용하라.
:대부분 납입이 어려우면 해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해지보단 일정기간 지나면 납입중지가 가능하다.
6.적립금 이전옵션을 활용하라
:수익이 나면 일정수익은 반드시 채권형으로 적립금을 이전하여 안정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.
7.사업비나 추가납입수수료,기타 수수료가 적은 상품을 선택하라.
:수익률을 극대화 하기 위해 사업비를 비교하여 사업비를 적게 떼는 상품을 선택하여야 후회가 없다.
'보험 종류별 > 일반연금/변액연금/변액유니버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시납 저축성보험료 비과세,과세 여부 (0) | 2017.03.02 |
---|---|
즉시연금 비교 (0) | 2015.01.24 |
생명보험 변액연금 비교 (0) | 2015.01.24 |
생명보험 변액유니버셜보험 비교 (0) | 2015.01.24 |
변액연금 사업비 비교 (0) | 2015.01.16 |